특권으로 사는 나라
특권으로 사는 나라, 캄보디아
어느 나라, 어느 사회나 특권층은 존재하기 마련입니다. 일반적으로 민주화된 나라나 사회일수록 특권층이 얇아지고 비민주적인 구조를 가진 나라나 사회일수록 두터운 특권층을 가지게 됩니다.
캄보디아는 한마디로 특권으로 사는 나라로 부를 수 있습니다. 아주 두터운 특권층을 가지고 있으며, 특권을 누리며 사는 것을 자랑으로 생각합니다. 이렇게 특권층이 많은 이유는 캄보디아가 왕국이라는 특징과 함께 아직 민주적인 질서가 정착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시내 도로를 다니다 보면 자주 경찰들이 교통을 통제하는 광경을 볼 수 있습니다. 도로 전체를 막아 차량이 다니지 못하도록 합니다. 꼼짝없이 도로 한쪽 구석에 차를 세우고 한참동안 기다리면 어김없이 경찰 오토바이의 사이렌 소리와 함께 시커먼 자동차 몇 대가 쏜살처럼 지나갑니다. 시커먼 자동차 속에 누가 타고 있는지 모르지만 온 도로를 전세내고 달려가는 특권이 보통 특권은 아닌 듯합니다.
워낙 일상 중에 보는 일이라 요즘은 저도 무감각해질 정도입니다. 경찰이 차를 통제하면 "또 누가 지나가나보다..." 그저 그렇게 생각합니다. 외국인인 제가 그럴 정도이니 캄보디아 사람들은 이런 특권을 부러움으로 바라보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캄보디아의 도로에는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최고급 차량들이 참 많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름도 듣지도 못했고 보지도 못했던 차들 입니다. 웬만한 부자가 아니면 구경조차 못할 그런 차들입니다. 이런 고급차를 스물 두어살 된 어린 여자아이들이 몰고 가는 것은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이런 고급차들의 대부분은 앞부분의 범퍼에 금색으로 된 문장을 로고처럼 붙인 차들입니다. 주로 군인들이 소유한 차량에 많고 정부 고위직 등이 그런 문양을 붙이고 다닙니다. 이런 문양이 있는 차는 경찰들이 손을 대지 못합니다. 권총을 찬 운전기사와 경호원을 대동하고 거드름을 피우며 차에 오르는 그들의 모습은 가히 특권의 첨단을 달리고 있습니다.
간혹 차량의 운전석이나 조수석 유리 앞에 A4 용지 크기의 종이에 VIP라고 쓰인 종이를 붙이고 다니는 차들을 볼 수 있습니다. 황금색 로고를 붙일 수 있는 수준은 안 되지만 그래도 특권층의 한 부류라는 것을 나타내는 표지입니다. 이 종이 한 장으로도 경찰의 단속 정도는 쉽게 비껴갈 수 있습니다.
예전에 한 선교사님의 차에 이 종이 딱지를 붙이고 있다가 교통 위반으로 경찰에 붙들렸습니다. 그런데 경찰이 종이 딱지를 보더니 외국인이 당신이 왜 이 종이 딱지를 가지고 있느냐고 묻더랍니다. 분명히 이 종이 딱지를 가질 자격이 없는데 있으니 이상하기도 하고 두렵기도(?) 했던가 봅니다. 그래서 선교사님은 대답하기를 나도 잘 모른다. 그런데 내 친구가 이걸 주면서 차에 두라고 했다. 궁금하면 이걸 준 친구에게 전화 걸어 줄테니 통화해보라고 했답니다. 그 말을 들은 경찰은 됐다고 하면서 그냥 가라 하더랍니다.
때로는 저도 이런 특권 속에 살고 싶은 생각도 듭니다. 특권이 통하는 사회에서 특권을 가지고 사는 것이 얼마나 편리한지 알기 때문입니다. 때때로 특권을 가진 사람들이 특권을 행사 할 때 그 피해를 특권이 없는 서민이 당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고 짜증이 나기도 합니다. 남의 나라에서 아무런 특권도 없이 약자로 살아가지만 그래도 저에게는 가장 큰 특권이 하나있습니다.
하나님의 자녀 된 특권입니다.
하나님의 자녀된 권세는 캄보디아에서 누릴 수 있는 비민주적인 그 어떤 특권보다 크며 값있는 것임을 고백합니다.
-
No Image
1박 2일
썸낭의 고향을 1박 2일 동안 다녀왔습니다. 왕복 약 1,000 Km의 긴 거리였습니다. 시골 들판의 한 쪽에서는 추수가 한창이고 다른 한쪽에서는 아직 추수의 손길이 미치지 못한 황금 들판이 바람에 흔들리고 있었습니다. 다행히 날씨가 뜨겁지 않아 하루에 10시... -
No Image
무화과는 아주 못된 나무입니다.
며칠 전 썸낭 전도사가 설교 준비를 하다가 도저히 이해가 안 된다며 성경을 들고 찾아왔습니다. 그러면서 펼친 성경 구절이 사사기 9장이었습니다. 기드온의 아들 아비멜렉이 70명의 형제들을 죽이고 왕이 되었을 때, 겨우 살아남은 요담이 비유를 들어 아비... -
No Image
특권으로 사는 나라
특권으로 사는 나라, 캄보디아 어느 나라, 어느 사회나 특권층은 존재하기 마련입니다. 일반적으로 민주화된 나라나 사회일수록 특권층이 얇아지고 비민주적인 구조를 가진 나라나 사회일수록 두터운 특권층을 가지게 됩니다. 캄보디아는 한마디로 특권으로 사... -
No Image
내 집은 어디에....
그가 내게 간구하리니 내가 그에게 응답하리라 그들이 환난 당할 때에 내가 그와 함께 하여 그를 건지고 영화롭게 하리라. (시 91:15) 지난 12월 4일 급하게 기도 요청하는 메일을 후원자들께 보냈습니다. 12월 임대료를 주기 위해 집 주인을 만났는데 집 주인... -
No Image
주님만이 우리의 치료자이십니다.
캄보디아 생활이 3년을 지나 4년이 되어 갑니다. 캄보디아 사람처럼 그렇지는 못해도 생활의 많은 부분이 캄보디아화(化) 되어가는 느낌입니다. 뜨거운 날씨며 무질서며 교통질서 없는 거리 등은 자연스런 삶의 일부분처럼 느껴집니다. 그만큼 캄보디아화 되었... -
No Image
내 머리 돌리도....
여름은 단기선교의 계절입니다. 많은 교회들이 오랜 시간의 준비와 많은 비용을 들여서 며칠에서 몇 주간까지 단기선교를 가지게 됩니다. 단기선교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프놈펜의 호텔이나 게스트 하우스는 거의가 한국인 차지라고 해도 될 정도입니다. 단기... -
No Image
그냥 1불 주고 말지....
매주 토요일에 현섭이와 현찬이가 태권도를 배우고 있습니다. 캄보디아 국가 대표팀을 지도하는 한국인 사범께서 주말에 교민 자녀들을 위해 태권도 교실을 열었습니다. 캄보디아 국가 대표팀이 훈련받는 체육관에서 한국인 사범님과 캄보디아 국가 대표 선수... -
No Image
캄보디아 7대 불가사의 제 1 편 - 문자가 어렵다 크마에가 어렵다
캄보디아의 문맹률은 대략 30~50%로 추측되고 있습니다. 추측된다는 말은 믿을만한 통계를 산출하는 기관이 없다는 뜻입니다. 한 국가에서 통계는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캄보디아는 아직 통계를 산출할 정부 조직이나 행정력이 없습니다. 그래... -
No Image
세계 7대 불가사의라굽쇼????
캄보디아를 소개할 때면 의례적으로 빠지지 않는 내용이 있습니다. 시엠립의 앙코르왓이라는 사원입니다. 앙코르 유적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자면 프랑스의 식물학자인 앙리 무오가 1860년 우연히 밀림 속에 버려진 유적을 발견하고 귀국하여 "솔로몬의 성전... -
No Image
캄보디아는 쓰레기통이 아닙니다
며칠 전 한국에서 중고 수입 오토바이들이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한다는 뉴스를 들었습니다. 주로 일본에서 수입되는 중고 스쿠터 종류들이 이미 낡을 대로 낡아서 심각한 매연을 뿜고 있지만 겉모양은 새것처럼 만들어서 팔고 있다는 그런 요지의 소식이었습...